지난 21일 교육부가 발표한 ‘2026학년도 일반대학 첨단분야 정원배정 결과 발표’에 따라 우리대학은 내년 신입생 모집부터 첨단분야에서 총 89명을 증원하게 됐다. 서울 소재 대학 중 가장 많은 인원이다. 자료에 따르면 2026학년도 증원 및 신설된 학과는 에너지신소재공학과(32명 증원), 융합환경과학과(16명 증원), 의료인공지능공학과(신설 21명), 지능형네트워크융합학과(신설 20명) 4개 학과이며 각각 첨단신소재, 에코업, 바이오헬스, 차세대통신 첨단 분야에서 정원을 배정받았다.
우리대학이 서울 소재 대학 중 최다 규모로 첨단 분야 학과를 증원했다는 사실은 당장 박수갈채를 받을 일이다. 국가가 첨단 기술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대학은 이에 발맞춰 학과 정원을 확대한다. 모두가 윈윈하는 그림이다. 그러나 증원이라는 숫자에 교육의 질이 따라가지 못한다면 모든 것은 공염불에 그칠 뿐이다.
정원의 증가는 곧 대학의 확장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학생 증원과 함께 우수한 교수진과 연구 장비, 실험실 및 커리큘럼, 그리고 취업 연계 시스템까지 따라붙어야 한다. 인프라는 그대로인데 학생 수만 늘어난 상황은 학습권 침해 문제로 이어지기 쉽다. ‘첨단’이라는 이름에 이끌려 입학한 학생들을 정체된 교육환경 속에 방치한다면 기술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는 무색해질 뿐이다.
타 학과와의 형평성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첨단학과에만 지원이 집중되면 나머지 학과들은 벼랑 끝으로 내몰리게 된다. 특히 소수학과는 폐과 위기에 더욱 취약하다. 같은 등록금을 내고도 차별적인 지원과 환경을 제공받는다면, 그것이 어찌 공정한 교육인가. 무엇보다, 이 시대에 진정 필요한 것은 기술과 함께하는 종합적 사고다. 첨단학과가 우리 사회를 이끄는 학문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다른 분야와의 융합적 연계가 필수적이다. 이를 대학이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면 스스로 도태를 자초하게 될 것이다.
물론 변화는 필요하다. 그러나 그 방식이 단순한 ‘양적 증원’에 귀결돼선 안 된다. 정원 확대뿐 아니라 방향 설정도 중요하다. 교육은 숫자의 게임이 아니다. 대학은 이제 ‘얼마나 더 많이 뽑을 것인가’를 넘어 ‘어떤 교육 환경을 제공할 것인가’를 마주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