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대학원
△ 사진= 대학원

 개인형 이동장치(전동킥보드, 1륜·2륜 전동휠 등) 이용 증가에 따른 안전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쟁점이 되고 있다. 대학가에서도 전동킥보드 관련 사망사고 등 안전사고가 빈발함에 따라 교내에 개인형 이동장치의 통행을 금지하기 시작했다. 우리대학도 2021년부터 개인형 이동장치의 교내 통행금지와 지정 공간 주차(문화관과 신공학관 입구)를 요청했지만, 지난 3년간 캠퍼스 내 불법 주차, 사고 발생시 학내 보험 적용 범위 불분명 등의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학교 측은 이번 달 4일부터 혜화문 앞에 울타리를 치고 상주 인원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개인형 이동장치의 출입을 막고, 주차지정 공간을 신공학관 한 곳으로 제한하는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그 결과 중앙도서관, 과학관, 운동장 입구 등 주차 지정 공간 이외에 전동 킥보드를 방치하는 문제는 일단락되었다.

 언뜻보면 개인형 이동장치의 주차 논란은 해소된듯 보이나, 사실 주차 위치가 ‘캠퍼스 안에서 밖으로 옮겨졌을 뿐’ 근원적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현재 중문 앞 펜스를 중심으로 수십 대의 전동킥보드가 겹겹이 줄지어 있는데, 문제는 전동킥보드가 주차된 곳이 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통행로라는 점이다. 특히 중문에서 앰배서더 호텔 쪽으로 연결되는 도로의 폭이 좁은데, 등하교가 몰리는 시간대에 좁은 통로에 전동 킥보드, 사람, 배달하는 오토바이가 뒤엉켜 안전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대학 내 전동킥보드 주차 문제를 단순히 ‘진입만 막는 것’으로 풀어내기 는 어렵다. 현재 학교 측은 전동킥보드를 학내에 주차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동 킥보드 업체와 연락하고 있지만, 업체가 일방적으로 소통을 거부하는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이 전동 킥보드의 교내 출입 자체를 거부하는 상황을 이해하지만, 학교 바로 밖에 방치된 전동킥보드 역시 우리 학생들, 나아가 지역 사회에 또 다른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대학 측은 중문 앞 불법주차 상황 역시 우리대학이 해결해야 할 문제라는 점을 인식하고, 학생들이 중문 인근 안전한 공간에 개인형 이동 장치를 주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등 새로운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동국대학교 대학미디어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